본문 바로가기
 

MBTI50

주기능~8차기능에 관한 전반적인 설명 MBTI 각 유형은 8개의 위계로 이루어져 있고 각 유형의 위계는 다음과 같다. 내향형 (The Introverts) 유형 ISTJ ISFJ INFJ INTJ ISTP ISFP INFP INTP 주기능 Si Si Ni Ni Ti Fi Fi Ti 부기능 Te Fe Fe Te Se Se Ne Ne 3차기능 Fi Ti Ti Fi Ni Ni Si Si 열등기능 Ne Ne Se Se Fe Te Te Fe 5차기능 Se Se Ne Ne Te Fe Fe Te 6차기능 Ti Fi Fi Ti Si Si Ni Ni 7차기능 Fe Te Te Fe Ne Ne Se Se 8차기능 Ni Ni Si Si Fi Ti Ti Fi 외향형 (The Extraverts) 유형 ESTJ ESFJ ENFJ ENTJ ESTP ESFP ENFP .. 2021. 10. 18.
MBTI 결과 해석 시 유의 사항 MBTI는 자가검사이며, 이의 한계는 분명하다. 또한 내담자가 자신을 둘러싼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은 부분이 많을 수 있다. 따라서 검사 결과가 내담자의 유형이 확실하다고 단정짓는 것은 불가능하다. 내담자의 유형은 검사 결과를 토대로, 내담자가 스스로 발견해야하며, 해석자의 경우 이러한 과정의 안내자가 되어야 한다. 유형이 확실치 않을 때는, 주기능과 부기능의 선호 분명도 지수를 비교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기능의 지수가 낮고, 부기능의 지수가 높은데, EI나 JP의 지수가 낮은 경우는 부기능이 주기능일 가능성이 있다. (예시1) 지표 E N T P 선호 분명도 지수 5 5 30 5 인 ENTP일 경우, 주기능에 해당하는 N의 지수가 낮고, 부기능에 해당하는 T의 지수가 높음으로, .. 2021. 10. 14.
유형 이론과 특질 이론의 차이 한국의 특성상 특질 이론에 노출되어있고 점수/수치에 민감하다. 피검자는 습관적으로 특질 이론으로 접근하려 하는 경우가 많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유형(Type) 이론 - MBTI 성격 유형 검사 특질(Trait) 이론 - MMPI-2 다면적 인격 검사 선천적으로 가지고 태어나는 선호에 관심 분류(sorting) 방향이 중요 편중된 분포 지수는 선호의 분명도 - 뚜렷함(clear) 좋고 나쁜 것이 없음, 건강과는 무관 '많고 적음'은 의미가 없다 상태의 묘사 "직관형이기 때문에 그런 것 같다."(X) "그러한 면은 당신의 직관으로부터 온 것 같다."(O) 인간이 소유하고 있는 특질에 관심 측정(measuring) 점수가 중요 정규분포 곡선 점수가 곧 특질의 양과 강도 - 강함(strong) 건강과 병리를 예.. 2021. 10. 14.
감정 기능(Fe/Fi)을 성장시키는 방법 감정 기능의 본질은 각각의 개인이 가진 경험과 관점에 가치를 두면서, 이를 의사결정의 기반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사고를 선호하는 유형(__T_)은 개개인의 경험과 관점을 존중하기보다 모든 사람에게 공정하고, 보편적이고, 효율적인 선택을 하려 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러한 경향은 사고 유형의 논리적 판단 능력과 객관적 분석 능력으로 나타난다. 인간사회는 많은 사람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많은 사람들로 인해 보편적인 가치가 형성된다. 하지만 반대로 생각해보면, 한 사람 한 사람이 모여 하나의 큰 인간 사회를 구성하게 되고, 사람은 저마다 다른 공동체에 속하여있고, 그 공동체의 보편적인 가치는 가치는 모두 다르다. 보편적인 가치는 시대와 전통, 장소 등 여러가지 요인에 의하여 항상 변화한다. 당신이 생각하는 공.. 2021. 10. 7.
MBTI 개인적 지표 정리 유형별 지정된 지표를 표현하는 형용사, 동사 또는 명사를 기록하세요 지표 안내를 5가지 내외로 간략하게 정리해 놓자 내 선호와 반대되는 선호는 부정적으로 이야기할 가능성이 높으니 주의하자 가치중립적이고 성장지향적 언어를 고르자 개인적 지표 정리 (E) 지표 - 에너지 (I) 지표 - 에너지 주도하는 (주도적) 넓은 얕은 대인관계 (다수와의 만남을 선호) 개방적 (내면을 표현하는) 말하며 생각하는 반응이 빠른 (2초) 같이하는 시간이 필요한 이끌리는 (수동적) 좁고 깊은 대인관계 (1:1 만남을 선호) 보유적 (Contained / 내면을 표현하지 않는) 내부로 생각하는 반응이 느린 (7초) 혼자만의 시간이 필요한 (S) 지표 - 인식 (N) 지표 - 인식 구체적 / 현실적 / 실용적 미시적 (나무를 보는.. 2021. 10. 6.
직관 기능(Ne/Ni)을 성장시키는 방법 직관 기능의 본질은 느낌이나 감과 같이, 체계적으로 설명되거나 정당화될 수 없지만 머릿속에 머물러 있는 것이다. 감각을 선호하는 유형(_S__)은 자신의 느낌이나 감에 의존하기보다 현실에서 확실한 근거를 찾으려 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러한 경향은 감각 유형의 인내심과 끈기로 나타난다. 하지만 세상은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며, 모든 것에는 항상 이면이 있는 법이다. 누군가 어떠한 사실과 그것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더라도, 그것을 100% 확실하게 보증할 수 있는 근거란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나의 느낌은 그것을 거짓으로 생각하지만, 당장 그것이 거짓이라는 근거를 찾지 못할 수도 있다. 하지만 좀 더 넓게, 좀 더 다양한 관점으로 전체적인 상황을 본다면(trans-contextual thinking),.. 2021. 10.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