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TI39 내 안의 내향사고(Ti)를 자극시키는 방법 내향사고(Ti)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분석심리학 - 내향사고(Ti)는 무엇인가? 출처 : 분석심리학 pp.167-170 ■ 합리적 정신 기능 ‘사고(T)’ 중 ‘내향사고(Ti)’는 무엇인가? 지적인 판단이 어느 다른 것보다도 중요한 유형임은 전자와 같으나 이 형의 인간의 사고는 객관적 chomskychannel.tistory.com #1. 정보와 아이디어들을 논리적인 기준으로 분류해보자 지인들 중 10명을 뽑아, 셋 또는 그 이상으로 나누어서 내가 정한 기준으로 분류해보자 1. PC에서 지인 10명의 사진을 준비해보자 2. 지인 10명을 셋 또는 그 이상으로 나눌 수 있는 논리에 기반한 기준을 만들어보자 3. 기준의 개수만큼 새폴더를 만들고 각각 폴더 이름을 정하자 4. 준비한 사진을 각각의 폴더.. 2021. 12. 23. 분석심리학 - 내향사고(Ti)는 무엇인가? 출처 : 분석심리학 pp.167-170 ■ 합리적 정신 기능 ‘사고(T)’ 중 ‘내향사고(Ti)’는 무엇인가? 지적인 판단이 어느 다른 것보다도 중요한 유형임은 전자와 같으나 이 형의 인간의 사고는 객관적 사실보다도 이념이나 관념에 영향을 받는다. 사실 그 자체보다 그 사실에 대해서 ‘내가’, 즉 주체가 어떻게 생각하느냐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내향적 사고형이 즐겨 관여하는 분야는 철학이다. 다윈이 외향적 사고형이라면 칸트는 전형적인 내향적 사고형이라 할 수 있다. 과학자에게서도 내향적 사고형을 볼 수 있다. 이들도 실험이나 통계적인 방법을 쓰는 수가 있으나, 이들은 언제나 그 방법을 통한 객관적 결과에 만족하지 않고 이러한 방법을 너무 지나치게 믿을 때 일어날 수 있는 판단상의 잘못을 지적하거나 연구.. 2021. 12. 23. 각 성향 부모의 강점과 약점 외향형 부모 외향형 부모의 강점 ・자녀가 바깥세상을 활발히 경험할 수 있도록 데리고 나가며, 여러 가지 활동에 참여시킨다 ・자녀들이 다른 사람들과 잘 어울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자녀들과 일상적인 대화를 즐기며 관심을 보인다 ・일을 할 때 앞장서서 솔선수범하는 본보기 역할을 한다 외향형 부모의 힘든 점 ・어린 자녀와 종일 집에 있고, 외부세계와 단절된 삶을 힘들어한다 ・자녀의 외부 활동이 충분한지 지나친 걱정을 하는 편이다 ・자녀의 개인적인 시간과 공간을 인정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고, 지나치게 관여하려는 경향이 있다 ・대화에서 자녀 말을 끝까지 참고 들어주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외향형 부모에게의 조언 ・가끔 자녀를 배우자에게 맡기고 외출하는 등 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는 시간을 갖자 ・내향형 자녀.. 2021. 12. 11. MBTI Form Q - 4가지 핵심 다면척도 (Facets) 1. 외향(E)/내향(I) 핵심 다면척도 - 능동성(Initiating)/수동성(Receiving) 사회활동 영역에서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을 때, 행동에 나타나는 특징에 대하여 공통점을 나누어 보세요. 능동성의 특징 수동성의 특징 ⁃ 인사를 먼저 하고, 다른 사람도 소개한다. ⁃ 모임을 주선하고, 주도적 역할을 한다. ⁃ 사람과 사람을 잘 연결시킨다. ⁃ 먼저 다가가고, 쉽게 친숙해진다. ⁃ 새로운 사람에 대해 호기심이 많다. ⁃ 내가 싫어하는 사람이 알아서 피해 간다. ⁃ 자꾸 "~를 하자~"라고 해서 일을 만든다. ⁃ 안면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먼저 아는 척한다. ⁃ 가만히 있으면 사람들이 의아해한다. ⁃ 언제들 대꾸할 준비가 되어 있다. ⁃ 10년 된 친구나 일주일 된 친구나 비슷하다. ⁃ 스킨십.. 2021. 11. 30. 다면척도 조별과제 1. 능동, 수동 사회활동 영역에서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을 때, 행동에 나타나는 특징에 대하여 공통점을 나누어 보세요. (아래 내용은 학생들이 정리한 내용임으로 부정확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능동 그룹 1. (평균 점수 : 4) 관심이 가는 사람에게 먼저 다가간다. 사람 만나는 것을 좋아한다. 공통 관심사 (학연, 지연 등 구체적인 질문)를 찾는다. 모임이나 관계에서 친근감을 표현한다. 공유하고 나누는 것을 좋아한다. 모임을 주도적으로 참여한다. (총무, 회장 등) 도움이 될 만한 것이 있는지 살펴본다. (오지랖) 코로나 상황에서는 화상 채팅을 자주한다. ※Oops의 의견 : 먼저 말을 걸지만, 분위기를 맞추기 위해서 어색함을 없애기 위해 말을 건다. 사람만나는 것을 선호하지 않지만 불편하지 않다. 먼저 요청이 .. 2021. 11. 23. 각 성향 자녀의 강점과 약점 (조별 과제) 외향형(E) 자녀의 강점과 약점 강 점 강점을 키우는 방법 1. 많은 사람 앞에서 이야기 하는 것을 좋아한다 2. 감정을 드러내는 것을 주저하지 않는다 3. 친구를 쉽게 사귄다 (편견이나 선입견 없이 친구를 사귄다) 1. 공연을 할 수 있는 오케스트라나 무대를 나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2. 긍정적인 감정 표현은 피드백이나 칭찬을 통해 가화하고 부정적인 감정 표현은 자녀들이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주고 자신의 행동에 대해 생각할 수 있도록 한다 3. 친구의 이야기를 할 때 관심을 가져준다 약 점 약점을 보완하는 방법 1. 감정이 쉽게 드러난다 2. 친구에 대해 쉽게 생각할 수 있다 1. 타인과 감정을 교류할 수 있는 역할놀이 등의 활동을 해줄 수 있다 (숨 고르기, 차 마시기 등 양육자와 함께.. 2021. 11. 17. 이전 1 2 3 4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