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촘스키3

노암 촘스키 (Noam Chomsky) ※ 본 글은 퍼온 글입니다. 본 티스토리에서는 해당 글의 저작권을 주장하지 않습니다. ※ 출처: 20세기를 움직인 사상가들 : Guy Sorman 지음, 강위석 옮김, 한국경제신문, 1991, Page 143~154 노암 촘스키란 누구인가? "사람은 말하는 능력을 타고난다" .... 1928 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리아에서 러시아 이민의 아들로 태어났다. 언어에 대한 흥미를 일찍부터 보여 중세 언어학 연구가인 아버지가 편찬한 13 세기 헤브루어 문법을 읽기도 했다. 펜실베이니아 대학에서 구조 언어학을 공부한 그는 1957 년 「구문론의 구조 (Syntactic Structures)」라는 책으로 구조 언어학을 주류로 하는 미국의 언어학계에 새 바람을 일으킨 기수가 되었다. 또한 그는 변형생성문법 이론.. 2021. 12. 11.
왜 아나키스트 사상들은 사회에 더 큰 영향을 끼치지 못했을까? 질문자의 질문 Just been working on Berkman's book now and then and just AK Press republished it, what is Anarchism. Reading these letters in the 20s, one is working on the book and is finding it very difficult. One of the things that he's trying to come to grips with, I think in the book, is why haven't people come to this idea? This idea which to me is just common sense, it's just this natural instin.. 2020. 2. 19.
만만한 노엄 촘스키 책 제목처럼 절대로 만만하지 않은 책. 안 팔리는데는 이유가 있다. 참쉽죠?의 밥 아저씨가 생각날 정도. 한 페이지 한 페이지에 엄청난 정보가 함축되어있다. 수십권의 두꺼운 책의 요약을 보는 느낌. 세계근대사과 모든 이데올로기에 대한 방대한 사전 지식이 필요. 촘스키의 사고를 이끌어준 이들 플라톤 인지과정(cognitive processes)에 대한 촘스키의 연구는 단순히 관찰의 결과를 일반화하는 것이 아니라 이론적이고 이상적인 형태에서 답을 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플라톤은 [국가론]에서 정의가 최고의 원리인 이상적인 사회를 그렸는데, 그것은 촘스키가 공유하는 이상 촘스키는 지식인이 특권계급이 되어야 한다는 플라톤의 신념에는 동의하지 않음. 플라톤은 민주주의를 배척함 / 민주주의 체제가 정치권력에게.. 2020. 2.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