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피엔스 스튜디오2

<ON BULLSHIT - 개소리에 대하여> 해리 G. 프랭크퍼트 개소리(Bullshit)의 특징 개소리 욕구가 강한 사람들은 자신의 욕구를 솔직하게 드러내지 않고, 자신의 느낌대로*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시킨다. 그들은 자신이 타인의 도움이 필요할 때, 혹은 타인과 무언가 하고 싶은 사회적 욕구가 발생할 때, 그것이 나한테 도움이 된다거나, 나에게 이득이 된다는 것을 밝히는 것을 극단적으로 싫어한다. 자신의 느낌대로란? 자신의 자아존중감이 훼손되지 않는 방어적이고 무의식적인 방향 개소리의 3대 요소 인정받고 싶은 욕구 자기를 상승시키고 싶은 욕구 (대가나 노력 없이 높아지고 싶은 욕구) 자기 지위를 침탈당하고 싶지 않은 욕구 (무시당하고 싶지 않은 욕구) 여러 사례를 모아 관찰하여 분석한 결과, 식사시간 중의 아빠들의 "밥 먹을 때 조용히 해!"라는 말은 가족들이 자기.. 2021. 9. 22.
어린이와 존댓말을 사용하자 어린이에게 존댓말을 써보면 자기 목소리가 얼마나 어른스럽게 들리는지 알게 된다. 의외로 반말을 쓸 때보다 대화의 분위기도 훨씬 부드러워진다. 어린이를 존중한다는 의지가 명확히 표현되는 순간, 어른의 여유가 자연스럽게 흘러나오기 때문이다. 그런 것을 진짜 권위라고 해도 좋지 않을까. 부모가 자녀와 존댓말로 대화하면 자녀의 언어가 정교해진다. 정교하다 = 맥락에 맞는 어휘를 구사한다 반말보다 존댓말의 종류가 훨씬 더 다양하기 때문에 표현력이 풍부해진다 존댓말의 종류 수평적 관계에서의 존댓말 수직적 관계 (10년 선배)에서의 존댓말 어린 사람에게 냉정하게 대하기 위해 (심리적거리를 두기위해) 하는 존댓말 30-40년 인생 선배에게 존경의 의미를 담아 써야하는 존댓말 [부모가 어린이에게 하는 존댓말]과 [어린이.. 2021. 9.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