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Science3 노암 촘스키 (Noam Chomsky) ※ 본 글은 퍼온 글입니다. 본 티스토리에서는 해당 글의 저작권을 주장하지 않습니다. ※ 출처: 20세기를 움직인 사상가들 : Guy Sorman 지음, 강위석 옮김, 한국경제신문, 1991, Page 143~154 노암 촘스키란 누구인가? "사람은 말하는 능력을 타고난다" .... 1928 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리아에서 러시아 이민의 아들로 태어났다. 언어에 대한 흥미를 일찍부터 보여 중세 언어학 연구가인 아버지가 편찬한 13 세기 헤브루어 문법을 읽기도 했다. 펜실베이니아 대학에서 구조 언어학을 공부한 그는 1957 년 「구문론의 구조 (Syntactic Structures)」라는 책으로 구조 언어학을 주류로 하는 미국의 언어학계에 새 바람을 일으킨 기수가 되었다. 또한 그는 변형생성문법 이론.. 2021. 12. 11. 엠마 골드만과 알렉산더 버크만의 삶과 사상 제177호 2010년 05월 http://www.sbook.co.kr/view.html?serial=645 엠마 골드만과 알렉산더 버크만의 삶과 사상 - 유현상(한국철학사상연구회 회원) - http://www.sbook.co.kr/view.html?serial=645 엠마 골드만과 알렉산더 버크만이 살던 때 역사는 성공한 혁명가보다는 실패한 혁명가를 더 많이 배출해 냈다. 레닌의 뒤를 이어 정권을 장악한 스탈린에 축출되고 암살당한 트로츠키는 불운한 혁명가의 전형으로 꼽힌다. 하지만 트로츠키는 그나마 역사상 최초로 성공한 사회주의 혁명의 주역이 되어 보기도 했다는 점에서 가장 불운한 혁명가라고 보기는 어렵다. 또 볼리비아 밀림에서 생을 마감한 체 게바라도 쿠바 혁명을 성공으로 이끈 주역이었다는 점에서 그이.. 2020. 2. 20. 왜 아나키스트 사상들은 사회에 더 큰 영향을 끼치지 못했을까? 질문자의 질문 Just been working on Berkman's book now and then and just AK Press republished it, what is Anarchism. Reading these letters in the 20s, one is working on the book and is finding it very difficult. One of the things that he's trying to come to grips with, I think in the book, is why haven't people come to this idea? This idea which to me is just common sense, it's just this natural instin.. 2020. 2. 1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