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82

스트레스 상황에서 부기능의 역할 (성격 유형과 스트레스 조별 과제 #2) 내향형의 스트레스 해소 : 타인과 함께 해야 한다 외향형의 스트레스 해소 : 혼자 해야 한다 INTP & INFP 부기능 : Ne (비전, 아이디어 제시) 1. 우리 유형들의 부기능은 평소에 어떤 역할을 하는가? (3가지) - 새로운 시각, 새로운 생각을 말해서 유머를 발휘한다. - 새로운 가능성, 타인의 잠재력을 알아차려줄 수 있다. - 숨은 뜻이나 다른 면모를 잘 찾을 수 있다. - 새로운 가능성을 찾다보니 새로운 사업을 고안해내는 경향이 많다 - 일이 고착상태에 빠질때에 새로운 참신한 생각을 제시함으로 핵심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경우가 있다 - 상상의 나래를 펼쳐 새로운 의견을 제시하는 등 무에서 유를 창조해내는 기능을 펼친다 - 모든 사물, 상황에서 의미를 찾으려한다 (통찰) 2. 부기능을 활용한.. 2021. 11. 14.
각 유형의 스트레스 상황 (성격 유형과 스트레스 조별 과제 #1) ESFJ & ENFJ - 외향/내향 1. 외향(E)을 과도하게 사용할 때, 받게 되는 스트레스는 무엇인가? (ESFJ) 많이 지치고 체력소모가 된다 (ESFJ) 내가 괜히 너무 말을 많이 하고 나댄 것 같은 후회가 든다 (ENFJ) 다른 사람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과정에서 자신이 소진 및 고갈된다 (ENFJ) 외향을 과도하게 사용한 후 혼자만 있고 싶고 고립되고 싶은 느낌을 받는다 2. 내향(I)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사람으로서부터 받게 되는 스트레스는 무엇인가? (ESFJ) 표현하지 않아서 답답하다 (ESFJ)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알 수가 없어서 답답하다 -> 실은 알고 싶지 않다. 소통이 안돼서 답답하다 (ESFJ) 상대방이 조용할 때 이 분위기를 이끌어나가야 한다는 부담감을 느낀다 (ENFJ) 체.. 2021. 11. 14.
사회인격학 (Socionics, 소시오닉스) 소시오닉스 이론은 1970~1980년대에 소련 출신의 유럽 리투아니아 학자 아우쉬라(Aušra Augustinavičiūtė)에 의해 개발된 심리학 이론으로, MBTI도 이론적 기반을 두고 있는 융의 심리유형론에 더하여 프로이트의 의식과 무의식에 대한 이론 그리고 안토니 케핀스키(Antoni Kepinski)의 정보 대사(information metabolism)이론에서 영향을 받았다. MBTI와 같이 한 사람의 성격은 8가지 심리적 기능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러한 조합이 다를 경우 정보를 받아들이거나 생성하는 방법이 달라져서 행동패턴이 다를 것이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한다. 소시오닉스 이론이 가지고 있는 가장 큰 특징은 다른 유형과의 관계에 초점이 맞추어져있다는 점이다. 한 유형이 다른 유형들과 .. 2021. 11. 5.
MBTI의 역사와 각 단계 년도 중요 사건 1919 Isabel Briggs Myers가 Swarthmore College를 졸업 Katharine Briggs(Isabel의 어머니)가 성격 유형 이론 연구 시작 1921 Carl Jung이 를 출판 1942 MBTI 개발 1943 Form A의 저작권 등록 1962 Isabel가 을 자체 출판 ETS(Educational Testing Services)가 MBTI의 연구 버전과 MBTI매뉴얼을 발행 1968 Katharine Cook Briggs 사망 산업심리학자 오사와 다케시가 일본에서 MBTI 설문지 발행. 이것이 첫 MBTI 번역본 1969 Isabel Briggs Myers와 임상 심리학자 Mary McCaulley가 유형학(Typology) 연구실 시작 1975 CPP,.. 2021. 11. 4.
MBTI의 기본 가정 진정한 선호는 실제로 존재한다. 해설: 선천적 선호 경향은 실존한다. 진정한 선호는 부적절한 유형발달을 이룬 사람보다 적절한 유형발달을 이룬 사람에게서 더욱 많이 확인된다. 해설: 가정 등의 사회적인 지지를 통해 건강하게 자신의 본래의 모습을 발달시킬 수 있었던 사람은 선천적 선호가 분명하게 겉으로 드러난다. MBTI는 자신의 선호를 확신하지 못하는 개인에게 한 범주에 정확히 답할 가능성을 극대화해야만 한다. 해설: 자신의 선천적 선호를 모르는 사람에게서도 최대한 한쪽으로 답하게 유도하여야한다. 개인은 자기-보고 검사를 통해, 자신의 유형을 형성하는 선호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표현할 수 있다. 해설: 모든 사람은 자신의 선천적 선호를 자기-보고 검사를 통해 표현할 수 있다. 선호는 대극으로 구성되어 있고.. 2021. 11. 4.
MBTI 직관 기능(Ne/Ni) 개인적인 재해석 인간이라면 누구나가 오감, 즉 감각(S)을 통해 정보를 인지한다. 하지만 직관형들은 이러한 감각적인 정보 인지에 쏟아붓는 에너지와 시간이 감각형들보다 적고, 곧바로 다름 정보를 인지하기 위해 초점을 이동시킨다. 일상적인 표현을 사용하자면 '대충 본다'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대충 보는 대신 많이 보려 한다. 이러한 패턴은 여러 가지 정보에 관심을 갖는다라고 말할 수도 있고, 한 가지 정보에 집중을 못한다라고도 말할 수 있다. 어린아이가 한 가지 장난감을 오랫동안 가지고 놀지 못하고 금세 질려버리고 새로운 장난감을 찾는 성향도 직관(N)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성인이라면 독서를 하기로 마음을 먹었어도 금세 다른 곳에 정신이 팔리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이 과도하다면, 주의력결핍 과잉.. 2021. 10. 27.